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컴퓨터비전
- ERD
- omtm
- Market
- 자연어처리
- 딥러닝
- fit
- productmarketfit
- 언어지능딥러닝
- 데이터시각화
- nlp
- Computer Vision
- 데이콘
- 모델링
- 데이터모델링
- 태블로
- 머신러닝
- 파인튜닝
- 데이터분석
- 그로스해킹
- tableau
- 시각화
- dl
- DACON
- OKR
- 인공지능
- product
- pmf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78)
블로그

[ Retention ] Activation 과정을 통해서 경험한 A HA Moment를 꾸준히 경험하도록 하는 것 서비스의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 중 하나 (PMF에서도 중요함) 일반적으로는 재방문을 통해 측정 -> 하지만 꼭 방문/접속이 기준이 되어야 하는지는 생각해볼 필요 있음 비용 대비 개선 효과가 굉장히 큼 일반적으로 신규 사용자 만드는 것보다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게 비용이 더 적게 듦 복리 효과 리텐션이 10% 높아진다고 매출도 단순히 10% 증가하는게 아니고, 시간이 지나면서 복리효과를 내며 매출의 성장에 크게 기여함 리텐션이 떨어지면 마이너스 복리효과가 나타나서 다른 부분을 아무리 개선해도 매출이 원하는 만큼 오르지 않을 수 있음 [ Retention 측정하는 세 가지 ..

[ Activation ] Acquisition을 통해 데려온 사용자가 우리 서비스의 핵심 가치를 경험했는가 ? Funnel 분석은 Activation 단계의 핵심 사용자들이 경험하는 단계를 도식화 각 단계의 전환율을 측정 / 분석 [ Funnel 분석의 고려 요소 ] 핵심 가치를 경험하는 시점과 그곳으로 연결되는 Stage를 잘 정의했는가 ? 비교적 이견이 없는 부분이긴 하나, 간혹 회사에서 생각하는 가치와 유저가 생각하는 가치가 다른 경우가 있으니 주의해야 함 A ha moment : 굉장히 중요한 사용자 경험 제공해주는 부분 Must Have : 가입이나 결제처럼 필수적으로 사용자가 반드시 거쳐가는 부분 Critical Path : 핵심 가치를 경험하는 지점까지의 단계들을 얼마나 잘 쪼개서 Funn..

[ 딥링크(Deep link), 디퍼드 딥링크(Deferred deep link) ]딥링크앱 안의 특정 화면(activity)으로 이동하는 링크 디퍼드 딥링크 : 딥링크의 실행을 앱 설치 이후로 지연 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우선 스토어로 이동해서 앱 설치 -> 앱 실행하면 바로 target activity로 이동일반적으로 UX 측면에서 중요도가 강조됨 (use context를 유지해야 함) 딥링크의 가치 향상된 UX : 사용자가 탐색하던 컨텍스트를 웹에서 앱으로 그대로 이어 사용할 수 있게 만듦 어트리뷰션 성과 측정 Customization 딥링크를 통해 설치된 경우에는 어트리뷰션 툴들이 성과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음 웹에서의 UTM Parameter와 유사함 광고를 집행하는 경우에 딥링크가 잘 셋..
[ 모바일 앱에서의 Acquisition ]앱스토어로 이동해서 설치하는 과정에서, URL에 붙어있는 parameter가 유실됨Attribution유저가 앱을 설치하고 사용하는 데 어떤 채널이 기여했는가 ?모바일 앱의 마케팅 성과를 판단하기 위해 활용되는 개념아직 완전히 표준화가 된 개념은 아님, 각자의 서비스에 맞는 어트리뷰션 기준을 세워 활용해야 함AppsFlyer, adjust, branch, Kochava와 같은 어트리뷰션 서비스가 있음 [ 알아야 할 몇 가지 어트리뷰션 개념 ]어트리뷰션 구현 방식서비스마다 구현 방식이 다름(잘 몰라도 됨) Install referrer, Device ID mapping, Fingerprinting ...어트리뷰션 윈도우 (룩백 윈도우)어느 기간 동안의 어트리뷰션을..
Acquisition의 기본 개념과 UTMAcquisition : 사용자를 우리 서비스로 데려오는 활동과 관련한 데이터 지표 [ 사용자 구분 ]자발적으로 우리 서비스를 찾아오는 고객 (Organic)마케팅 활동으로 인해 찾아온 고객 (Paid)일반적으로는 이렇게 생각하게 된다.어떻게 하면 Organic 유입을 늘릴 수 있을까?어떻게 하면 Paid 채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 하지만 Organic은 개념적 구분이고 실제 고객에서 Organic을 확실하게 구분지을 수 없다 ! 우리는 이걸 생각해야 됨.어떻게 하면 사용자의 유입 채널을 정확하게 추적하고각 채널별 성과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을까?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유입 채널을 세분화한 이후, 유입 채널이 확실하지 않은 고객(Unknown)을 Orga..

[Product-Market Fit]우리가 만든 제품/서비스가 실험을 할만한 가치가 있는가 ?우리가 생각하는 문제가 진짜 발생한 문제인지우리의 솔루션이 그 문제를 해결하는 게 맞는지이 서비스를 만들면서 세운 가설은?Product-Market Fit을 확인하려면 다음 세 가지를 확인해야 함RetentionConversionNPS (Net Promoter Score)PMF 확인하는 데 부적합한 지표는 다음 세 가지InstallSign-upActive user Retention (잔존율)(설정된 기간 끝의 활성 사용자 수 - 설정된 기간 동안의 신규 사용자 수) / 기간 시작 시의 총 활성 사용자 수유저 리텐션을 개선하기 위해 코호트 분석, 고객 피드백 수집 및 활용, 온보딩 경험 개선, 푸시 알림 등의 방법..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301651 프로그래머스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programmers.co.kr 프로그래머스에서 멸종위기의 대장균 찾기 문제에서 사용한 WITH RECURSIVE 절에 대해 알아보자 WITH RECURSIVE는 쿼리 안에서 재귀적으로 자기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임시 테이블을 생성한다.계층 구조나 트리 구조 데이터를 탐색할 때 주로 사용된다. 멸종위기의 대장균 찾기 정답 코드를 보면서 확인해보자 !with recursive tmp as # tmp라는 임시 테이블 생성( select id, parent_id, 1 ..

✨ 태블로 신병훈련소 6일차 정리 ✨ 태이블 계산식의 원리 & 시각화의 세부 수준 1. 테이블 계산식의 원리태이블 계산식은 Raw Data를 집계한 값(Aggregation)을 가지고 테이블 계산을 실행한다4일차 과제 - 국가별 가격 변동 비율 차이 참고Dollar Price(Raw Data)의 합계(Aggregation) 구하고그 합계로 "구성비율"이라는 테이블 계산식(Table Calculation)을 통해 변동 비율 계산이미 집계된 Dollar Price 합계 값을 가지고 '재계산' 했다!Dollar Price 합계 기준 : 연도(Date), 국가명(Name)집계의 기준 : 시각화의 세부 수준에 따라 결정됨 2. 시각화의 세부 수준시각화에 추가되는 차원에 따라 집계의 기준이 변경됨측정값의 집계 기..